기형적 회식문화와 영양 불규형, 스트레스가 난임과 불임의 원인.
지난 24일, 대한산부인과의사회는 20대 한국 여성 폭음비율이 44.5%라며 이는 순한 소주 열풍 속에 적신호라고 밝혔다.
요즘 유자향, 자몽, 복숭아 같은 달콤한 과일 맛이 첨가된 순한 소주가 인기를 끌고 있다. 과일맛 순한 소주의 유행은 여성에게 술을 권하는 요즘 사회 분위기를 반영하는 듯하다.
주류회사가 늘어난 여성 음주자를 마케팅 대상에서 놓칠리 없다.
질병관리본부가 작년에 발표한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여성의 사회진출이 늘어나면서 2005년 여성 월간 음주율 36.9%에서 매년 증가해, 2013년에는 45.7%인 절반 가량의 여성이 음주하는 것으로 발표됐다.
여성 폭음자(한 번의 술자리에서 5잔, 맥주로는 3캔 이상 마시는 여성)도 3명 중 한 명 정도 수준인 29.4%로 늘었다.
특히 20대 여성(19~29세)의 월간 음주율은 62.3%로 절반을 훌쩍 넘어 가장 많았으며, 폭음 비율도 절반 수준인 44.5%에 달했다.
현재 20대 여성의 음주, 흡연, 영양 불균형의 문제는 10~20년 후 성인병이 이른 나이에 조기 발병하거나 결혼 후 난임 또는 불임 등으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 게다가 직장의 기형적 회식 문화 등의 영향은 이러한 문제를 조장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대한산부인과의사회 자궁경부암연구회 이석수 전문위원은 “성인병 등 현대의 많은 질병은 건강에 해로운 생활습관이 누적되며 생기는 습관병”이라며 “20대 여성의 음주와 흡연 등은 취업 스트레스 또는 사회초년생으로서 잦은 야근과 회식, 조직 내 인간관계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겪는 경우가 많기 때문”임에도 “아직 젊어서 별 다른 건강 관리를 하지 않아도 금방 이상 징후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건강 관리가 더 부실한 셈”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영양 불균형이나 과도한 스트레스는 호르몬 불균형이나 불규칙한 생리로 이어지면서, 난임이나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고혈압, 고지혈증 같은 심혈관계 질환이나 비만, 당뇨, 골다공증 같은 만성 성인 질환이 30~40대부터 조기에 발병할 수 있다는 점도 우려가 된다.
현재 20대의 젊은 여성이라도 지금부터의 건강관리가 평생 건강의 초석이 된다는 점을 잊지 말고 당장 건강관리를 시작해야 한다. 금연, 절주, 규칙적인 운동을 실천하고, 영양가 있는 음식을 고루 섭취하고 좋은 마음을 갖는 연습을 해야 한다.
이석수 전문위원은 20대 한국 여성들을 위해 “건강 관리를 시작해야 하는 나이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건강 관리는 지금부터 시작하는 것”이라고 밝혔다.